반응형
SMALL

[문법-Grammar] 23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

1. 관계대명사란?**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두 문장을 연결하여,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대명사입니다.보통 who, which, that, whom, whose 등이 대표적이고, 문장 속에서 **관계절(Relative Clause)**을 이끌어내며, 이 절이 형용사처럼 선행사를 수식합니다.예시The man is my teacher. He is wearing a hat.두 문장을 연결해 보면:The man who is wearing a hat is my teacher.여기서 who가 ‘사람(=the man)’을 가리키는 관계대명사 역할 + 이어지는 절(who is wearing a hat)이 ‘어떤 남자인지’ 수식.I bought a book. ..

[문법-Grammar] 2025.04.20

준동사(Verbals)

1. 준동사(Verbals)란 무엇인가?준동사(Verbals)는 문자 그대로 “동사이지만, 동사처럼 완전히 쓰이지 않고 다른 품사처럼 기능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영어에서 대표적으로 세 가지가 있어요:to부정사(To-infinitive): “to + 동사원형”예) to go, to eat, to run동명사(Gerund): “동사원형 + -ing” (명사 역할)예) running, eating, playing분사(Participle): 현재분사(-ing) / 과거분사(-ed, p.p 등)예) running water, finished project 등이들은 문장 속에서 동사 자체로 쓰이지 않고, 주로 명사, 형용사, 부사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2. to부정사(To-infinitive)2.1 형..

[문법-Grammar] 2025.04.13

타동사/자동사

1. 타동사(Transitive Verb)란 무엇인가?타동사는 문장에서 **목적어(Object)**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즉, "누가(주어) 무엇을(목적어) ~한다" 구조를 형성할 때, 그 **‘무엇을/누구를’**에 해당하는 대상(목적어)이 없으면 문장이 어색해지는 동사를 말합니다.예시I eat an apple.동사 eat은 “먹다” → '무엇을 먹다?'가 반드시 필요여기서 ‘an apple’이 목적어로 와야 문장이 완성She plays the guitar.동사 play(~을 연주하다) → ‘무엇을 연주하는지(대상)’가 있어야 함the guitar가 목적어They like music.동사 like(좋아하다) → '무엇을 좋아하나?' 필요music가 목적어타동사의 특징목적어가 없으면 의미가 미완..

[문법-Grammar] 2025.04.10

분사

1. 분사(Participle)란 무엇인가?분사(Participle)는 동사의 형태 변화를 통해, 문장에서 형용사나 부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한 종류의 준동사입니다.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동사원형 + -ing과거분사(Past Participle): 보통 동사원형 + -(e)d (규칙동사) 또는 불규칙 변화(e.g. gone, done, seen 등)분사는 영어에서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거나, 분사구문 형태로 문장 전체에 부사적 의미를 추가할 때 자주 쓰입니다.2.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와 과거분사(Past Participle) 기초2.1 현재분사(동사원형 + -ing)형태: run → running, eat → eating, see → seeing 등기능: 보통..

[문법-Grammar] 2025.04.04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구분

1. 두 개념의 기초: to 부정사 vs 동명사1.1 용어 정리to 부정사 (to-infinitive)형태: to + 동사원형문장 내 역할: 명사(주어·목적어·보어), 형용사, 부사 등으로 다양하게 쓰임의미적 특징: 대체로 “미래 지향성”이나 “아직 일어나지 않은 행위” 또는 “의도/목적” 등을 내포하는 경우가 많다.동명사 (Gerund)형태: 동사원형 + -ing문장 내 역할: 명사로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 목적어 등의미적 특징: 대체로 “이미 하고 있는 행위”, “일반적 활동” 또는 “과거 경험” 등등 좀 더 ‘사실적·현실적’ 뉘앙스를 띠는 경향.두 형태 모두 영어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는 방식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다만, 쓰임새와 의미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2. 공통..

[문법-Grammar] 2025.04.04

To 부정사.

1. to부정사란 무엇인가?**to부정사(to-infinitive)**는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문법 요소입니다. 쉽게 말해, 동사를 ‘~하기’라는 개념으로 바꿔주는 장치이며, 영어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여 문장 표현을 훨씬 풍부하게 만듭니다.예)To study hard is important. (주어 역할)I want to go home. (목적어 역할)She has a plan to travel abroad. (형용사적 용법)He left early to meet his friend. (부사적 용법, 목적)이처럼 to부정사는 한 가지가 아닌 여러 문장 요소(명사·형용사·부사 등)로서 쓰이기 때문에, 활용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2. to부정..

[문법-Grammar] 2025.04.04

동명사

1. 동명사(Gerund)란 무엇인가?동명사(Gerund)란, 동사의 원형 + -ing 형태이지만, 문장 내에서 명사(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 등) 역할을 하는 어형을 말합니다. 직관적으로는 “동사가 -ing로 변해서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죠.예)Running is good for your health. (동명사 running이 문장의 주어 역할)I enjoy reading novels. (동명사 reading이 목적어)동사가 동명사 형태가 되면 더 이상 동사 기능을 하지 않고, 명사 역할로서 문장의 한 구성요소가 됩니다.2. 동명사의 주요 쓰임2.1 주어 역할문장의 주어 자리에 동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Swimming is my favorite exercise.(수영하기가 내가..

[문법-Grammar] 2025.04.03

수동태

1. 수동태란 무엇인가?**수동태(Passive Voice)**는 문장에서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능동) 대신, 그 동작을 ‘당하는’(수동)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능동태 문장에서는 ‘주어’가 동작의 주체이고, 수동태 문장에서는 ‘주어’가 동작의 객체가 됩니다. 쉽게 말해, “누가 ~하다”에서 “무엇이(누가) ~을 당하다” 식으로 초점이 바뀌는 것이죠. • 능동태(Active Voice) 예: • “I eat an apple.” (나는 사과를 먹는다) • 여기서 ‘I’가 능동적으로 동사를 실행(먹는다) • 수동태(Passive Voice) 예: • “An apple is eaten (by me).” (사과는 [나에 의해] 먹힌다) • 여기서는 ‘apple’이 먹힘을 당하는 대상(즉, 주어는 동..

[문법-Grammar] 2025.04.02

불규칙 동사

1. 불규칙 동사란 무엇인가?정의**불규칙 동사(Irregular Verb)**는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을 만들 때, 일반적인 규칙(동사 끝에 -ed 붙이기)을 따르지 않는 동사들을 말합니다.예) go → went → gone, see → saw → seen 등반면, 규칙 동사는 work → worked → worked, play → played → played처럼 -ed를 붙여 과거형과 과거분사를 만듭니다.중요성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 중 상당수가 불규칙입니다. (예: be, have, do, go, come, get, see, take 등)이런 동사들을 잘 모르고 넘어가면, 회화·작문·독해할 때 불편함이 큽니다.학습 방법빈도 높은 동사부터 우선 익히세요. “일단 자주 보이는 동사 몇 개만큼은 완벽히 외..

[문법-Grammar] 2025.04.01

영어 동사 관련 문법

시작 – “동사가 왜 중요한가?”영어 문장에서 동사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요. “누가(주어)가 무엇을 한다(동사)”라는 뼈대를 만드는 핵심 요소죠. 영어는 특히 동사의 형태가 시제(과거, 현재, 미래)에 따라 달라지고, 또 조동사나 가정법 등에 따라 여러 변화를 겪습니다. 만약 동사를 잘 이해하지 못하면, 문장의 중심을 잡기가 어려워집니다.예) “I run.” (나는 달린다)여기서 run(동사)이 없으면, 문장이 완성되지 않죠.이처럼 동사를 제대로 공부하는 것은 영어 문법 전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전개 – “동사가 어떻게 변하고 활용되나?”동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변형되거나 특별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1. 시제(Tense)시제는 동사가 표현하는 시간을 말해요: “과거에 했는지, 지금 하..

[문법-Grammar] 2025.03.3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