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명사(Gerund)란 무엇인가?
동명사(Gerund)란, 동사의 원형 + -ing 형태이지만, 문장 내에서 명사(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 등) 역할을 하는 어형을 말합니다. 직관적으로는 “동사가 -ing로 변해서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죠.
예)
- Running is good for your health. (동명사 running이 문장의 주어 역할)
- I enjoy reading novels. (동명사 reading이 목적어)
동사가 동명사 형태가 되면 더 이상 동사 기능을 하지 않고, 명사 역할로서 문장의 한 구성요소가 됩니다.
2. 동명사의 주요 쓰임
2.1 주어 역할
문장의 주어 자리에 동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 Swimming is my favorite exercise.
- (수영하기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운동이다)
이 경우, 동명사가 없는 문장이라면 명사(예: "Swimming" 대신 "Swim"은 명사가 아님)로 대체하기 어렵지만, 동명사 자체가 명사 역할을 하므로 주어 가능.
2.2 목적어 역할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동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 동사의 목적어
- 예) I enjoy watching movies. (enjoy의 목적어)
- 예) We finished doing our homework. (finish의 목적어)
- 전치사의 목적어
- 예) I’m interested in learning Spanish.
- 전치사 in 뒤에 learning이라는 동명사가 옴 → "in ~ing" 구조
2.3 보어(주격보어) 역할
- 주어 + be동사 + 동명사 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 My hobby is collecting stamps.
- (취미 = 우표 모으기)
여기서 collecting이 명사처럼 보어로 사용되어 "나의 취미가 무엇인지" 설명해 줍니다.
2.4 기타 (동명사구)
동명사는 단순히 -ing 형태 하나로만 쓰일 수도 있지만, 뒤에 목적어/부사구/전치사구 등을 달고 **동명사구(gerund phrase)**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예)
- Reading science fiction novels is fun.
- I remember having visited that museum.
3. 동명사와 현재분사 구분하기
-ing 형태라고 해서 모두 동명사는 아닙니다.
- 동명사(Gerund): 명사 역할 (예: Watching movies is fun.)
-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형용사 역할 또는 진행 시제의 동사 (예: The man watching a movie is John. / He is watching a movie.)
둘 다 형태는 동사원형 + -ing이지만, 문장에서 어떠한 역할(명사/형용사/동사)을 하느냐가 결정적 차이입니다.
4.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동사 + 동명사 구조로 자주 나타나는 대표 동사들을 기억해두면 편리합니다.
- enjoy, finish, avoid, admit, deny, practice, mind, consider, suggest, recommend, quit, keep(on), stop(동명사 쓰면 '하던 걸 멈추다'), imagine, risk, delay, postpone 등
예)
- I enjoy playing the piano.
- We finished cleaning the house.
- He avoided talking about that issue.
이러한 동사 뒤에 동명사가 오면 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5. to부정사 vs 동명사
다른 문법 포인트이긴 하지만, 학습 중 혼동이 자주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어떤 동사는 목적어로 to 부정사를 취하고, 어떤 동사는 동명사를 취하며, 둘 다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둘 다 가능하되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죠.
- to 부정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want, hope, plan, decide, expect 등
- ex) I want to go home. (동명사 X)
- (I want going home. 은 어색)
-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enjoy, finish, avoid, mind, consider, suggest, deny, keep, etc.
- ex) I enjoy playing baseball. (to play는 어색)
- 둘 다 가능: like, love, prefer, begin, start, continue 등
- ex) I like to read / I like reading. (대체로 큰 의미 차이 없음)
- 둘 다 가능하지만 의미 달라지는 경우:
- remember, forget, stop, regret 등이 대표적
- ex) “I stopped smoking.” (담배피는 것을 그만두었다) vs “I stopped to smoke.” (담배피기 위해 잠시 하던 동작을 멈춤)
여기서는 동명사에 집중하되, “해당 동사가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가?”를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6. 동명사의 시제/태 표현
동명사는 ‘~ing’ 형태이지만, 시제나 태(능동/수동)를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단순 동명사(능동): doing, eating, reading 등
- 단순 동명사(수동): being + p.p
- ex) I dislike being told what to do. (내가 듣는/당하는 것을 싫어함)
- (tell - told - told)
- 완료 동명사(능동): having + p.p
- ex) He denied having seen her. (과거에 봤던 것을 부정)
- 완료 동명사(수동): having been + p.p
- ex) She regrets having been treated unfairly. (과거에 부당대우 받았던 걸 후회/유감)
이처럼 동명사 앞에 being이나 having이 붙어 시제나 태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7. 동명사의 부정형
동명사를 부정할 때는 not을 동명사 앞에 둡니다.
- Not finishing the project on time was a big mistake.
- I regret not telling him the truth.
즉, “not + 동명사”가 된다.
8. 동명사와 소유격/목적격의 주어
동명사가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할 때, 그 앞에 “동작을 하는 주체”를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 소유격 + 동명사
- 예) I appreciate your helping me.
- (네가 나를 도와주는 것에 감사해)
- 더 격식 차린 표현
- 목적격(대명사) + 동명사
- 예) I appreciate you helping me.
- 일상 회화에서 더 자주 쓰임
영어 교과서에서는 “소유격 + 동명사”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하지만, 현대 구어체에서는 “목적격 + 동명사”도 널리 사용됩니다.
9. 동명사를 활용한 다양한 예문
- 주어:
- Exercising regularly is important.
-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것은 중요하다)
- 보어:
- My favorite hobby is collecting stamps.
- (수집하기)
- 목적어(동사 뒤):
- I enjoy listening to music.
- She suggested going out for dinner.
- 목적어(전치사 뒤):
- They a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 She apologized for being late.
- 과거 시점 강조(완료 동명사):
- He denied having stolen the money.
- (과거에 돈을 훔친 사실을 부정)
- 수동 의미(being p.p):
- We dislike being ignored.
- (무시당하는 것을 싫어한다)
10. 흔히 혼동되는 사례 / 주의할 점
- 동사 + 동명사 vs 동사 + to부정사
- 위에서 언급한 대로, 목적어 자리에 무엇을 쓰느냐는 동사마다 다름. enjoy + 동명사, want + to부정사 등 기억 요망.
- 주어 자리에 동명사 vs to부정사
- 동명사와 to부정사 모두 주어 가능:
- Seeing is believing. (동명사)
- To see is to believe. (to부정사)
- 대개 실제 회화/작문에서는 동명사 주어가 좀 더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
- 동명사와 to부정사 모두 주어 가능:
- 동사원형 -ing vs 현재진행
- I am running. (현재진행: 동사)
- Running is fun. (동명사: 명사)
- 한정사(소유격 등) + 동명사 문맥
- 예) I don’t mind his leaving early.
- vs. “I don’t mind him leaving early.” → 둘 다 가능, 전자는 문어체, 후자는 구어체.
11. 동명사 학습 팁
-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목록 우선 암기
- enjoy, finish, avoid, mind, consider, suggest, deny, keep, practice, etc.
- 전치사 + 동명사 자동화
- in doing, of doing, for doing, without doing, before doing, after doing, etc.
- 전치사 뒤에 동명사가 오는 형태를 습관화하자(전치사 뒤에 to부정사 안 됨).
- 과거 의미/수동 의미: being p.p / having p.p / having been p.p
-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되면 문장 표현의 폭이 넓어진다.
- 다른 -ing형과 구분
- 현재분사(형용사/분사구문 등)와 동명사는 역할 다름. 문장에서 “얘가 명사 역할인지, 형용사/부사 역할인지” 파악.
- 직접 문장 만들어보기
- 자주 쓰는 동사(예: enjoy, finish) + 동명사, 전치사(in, on, of, about) + 동명사 식으로 예문을 많이 만들어보면 머릿속에 자연스레 자리잡는다.
12. 요약
- 동명사 = 동사 + -ing 형태지만, 명사로 쓰이는 어형.
- 문장 속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 명사 자리에 온다.
- 전치사 + 동명사 구조는 매우 흔함(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필요하므로).
- 동명사 자체가 시제·태를 반영할 수도 있음: (not) + being p.p, (not) + having p.p 등
- 동사마다 동명사/부정사 중 무엇을 목적어로 취하는지 잘 구분해야 함(예: avoid + ing, want + to동사).
동명사는 영어 쓰기와 말하기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전달할 때 자연스러운 방법이죠. 결국, 동명사를 자유롭게 구사하면 문장 표현력이 확 달라집니다. 이제 주어진 예시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장을 만들어보며 연습해 보세요.
'[문법-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구분 (8) | 2025.04.04 |
---|---|
To 부정사. (0) | 2025.04.04 |
수동태 (2) | 2025.04.02 |
불규칙 동사 (2) | 2025.04.01 |
영어 동사 관련 문법 (6)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