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1. 관계대명사란?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두 문장을 연결하여,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대명사입니다.
- 보통 who, which, that, whom, whose 등이 대표적이고, 문장 속에서 **관계절(Relative Clause)**을 이끌어내며, 이 절이 형용사처럼 선행사를 수식합니다.
예시
- The man is my teacher. He is wearing a hat.
- 두 문장을 연결해 보면:
- The man who is wearing a hat is my teacher.
- 여기서 who가 ‘사람(=the man)’을 가리키는 관계대명사 역할 + 이어지는 절(who is wearing a hat)이 ‘어떤 남자인지’ 수식.
- I bought a book. The book is very interesting.
- → I bought a book which is very interesting.
- which가 book을 설명.
2. 주요 관계대명사와 용법
- who
- 보통 ‘사람’을 선행사로 할 때 사용
- 예) The girl who is singing is my sister.
- which
- ‘사물, 동물, 개념’ 같은 ‘사람이 아닌 것’을 선행사로 할 때
- 예) The movie which I watched was great.
- that
- who/which 대신 that을 쓸 수 있는 경우가 많음.
- 예) The man that is wearing a hat is my teacher.
- 예) The book that I bought is interesting.
- 다만, 제한적 용법 (사람/사물 상관없이 가능) → 종종 더 일반적이고 구어체적.
- whom
- 목적격(사람)일 때 사용, 포멀한 문장에서 주로 보임.
- 예) The person whom I met yesterday was kind.
- 회화에서는 who로 쓰거나 구조를 바꾸는 경우가 많음(“The person I met…”).
- whose
- 소유격 역할 → “~의”
- 예) The boy whose father is a doctor lives next door. (그 소년, 아빠가 의사인)
3. 제한적/비제한적 용법 (Restrictive vs Non-restrictive)
관계절이 선행사를 필수적으로 제한하는지, 또는 추가 설명만 하는지에 따라 문장 구조·쉼표 여부가 달라집니다.
- 제한적(Restrictive) 용법
- 선행사를 ‘한정’해서, 없어지면 의미가 달라짐
- 쉼표(,) 없음
- 예) The man who is wearing glasses is my father.
- (안경을 쓴 그 남자만을 특정)
- 비제한적(Non-restrictive) 용법
- 추가 정보(굳이 없어도 문장 기본 의미 유지)
- 쉼표(,)로 구분
- 예) My father, who is wearing glasses, is a doctor.
- (아빠가 안경 쓰고 있다는 건 부가 정보; 아빠는 어차피 하나뿐이니 한정할 필요 없음)
비제한적 용법에서 사람 = who, 사물/동물 = which만 사용(보통 that은 비제한적에서는 잘 안 씀).
4. 관계대명사의 생략
- 주격 관계대명사: 주어 역할이므로 보통 생략 불가
- 예) The man who is sleeping is Tom. → ‘who’가 없으면 동사가 연결 안 됨
- 목적격 관계대명사: 목적어 역할이면 생략 가능
- 예) The book (which) I bought is interesting. (목적어 which 생략 가능)
- that도 목적격이면 생략 가능
- 예) The boy (that) I met yesterday is my friend.
5. 관계부사와 혼동 주의
**관계부사(when, where, why, how)**는 ‘장소(where), 시간(when), 이유(why), 방법(how)’를 나타내며 뒤에 절이 오지만, 이는 부사 역할이므로 ‘관계대명사’와 구별됩니다.
- 예) The place where I live is quiet. (where: 부사)
- 예) The day when we met was rainy. (when: 부사)
관계대명사 which + 전치사(where, when 대용) 형태로 바꿀 수도 있음(“the place in which I live”).
6. 주의해야 할 점
- 관계대명사 that:
- 사람/사물 모두 쓸 수 있지만, 비제한적 용법(쉼표 사용)에선 잘 안 씀.
- 예) My sister, who is a doctor, … / (X) My sister, that is a doctor…
- whom vs who**
- whom은 목적격이지만, 요즘 구어체에서는 who로 대체하는 경우 많음.
- 포멀한 글이나 시험에서는 구분이 엄격할 수 있음(“The man whom I met”).
- of which / of whom / whose
- 소유격/일부 표현: “The city, whose buildings are tall, …” = “The city, the buildings of which are tall, …”
- 관계절이 동사의 단/복수에 영향 줄 수 있음(주격 관계대명사: that/who/which가 지칭하는 게 단수냐 복수냐).
- 예)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Canada. (friend 단수)
- 예) I have friends who live in Canada. (friends 복수)
7. 예시 문장
- who(사람, 주격)
- The girl who works at the cafe is my sister.
- whom(사람, 목적격)
- The woman whom I saw yesterday was famous.
- (구어: The woman who I saw… or The woman I saw…)
- which(사물, 주격/목적격)
- The car which is parked outside is mine. (주격)
- The movie which I watched was exciting. (목적격)
- that(사람/사물, 제한적)
- The phone that I lost was expensive.
- The man that you met is my uncle.
- whose(소유격)
- The boy whose bike was stolen is upset.
- 비제한적(쉼표 사용)
- My brother, who lives in London, is coming tomorrow.
8. 결론 요약
- 관계대명사는 문장에서 앞의 명사를 꾸며주는 절(관계절)을 이끌며, 선행사와 절을 연결한다.
- 주요 단어: who, which, that, whom, whose
- 사람이면 who/whom, 사물이면 which, 둘 다 가능하면 that(제한적 용법)
- 목적격(whom, which, that)은 종종 생략 가능
- 비제한적 용법은 쉼표 사용, that은 잘 안 씀
영어에서 관계대명사를 제대로 쓰면 문장을 길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평소에 짧은 두 문장을 하나로 합쳐 연습해 보세요.
반응형
LIST
'[문법-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동사(Verbals) (6) | 2025.04.13 |
---|---|
타동사/자동사 (2) | 2025.04.10 |
분사 (28) | 2025.04.04 |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구분 (8) | 2025.04.04 |
To 부정사.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