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간밤에 2일 발표할 관세율을 결정했다면서 상호관세는 발표와 동시에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포스트(WP)는 대부분 수입품에 20% 관세율이 적용되는 초안이 대통령에게 제출됐다고 보도했다. AP 뉴시스
Washington, D.C. — The White House announced today that it will begin implementing reciprocal tariffs “immediately upon announcement,” marking a significant shift in the administration’s trade policy. Under this new directive, any tariffs placed on American goods by foreign governments could result in corresponding duties being imposed on those nation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Speaking at a press briefing, a senior White House official explained, “We have consistently emphasized that our trade partners should engage in fair and balanced practices. If they levy unreasonable duties on U.S. products, we will respond in kind without delay.” The official further stated that the policy aims to protect American industries, job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om unfair competition abroad.
While supporters of the policy argue that such measures will strengthen domestic manufacturing and reduce trade imbalances, critics caution that reciprocal tariffs may escalate trade tensions and disrupt global supply chains. International trade experts are closely monitoring how this immediate implementation will affect negotiations with key partners, including major economies in Asia and Europe.
In response to the announcement, several foreign ministries have expressed concern over the potential impact on global economic growth. However, the administration maintains that prompt action is necessary to ensure a level playing field for American businesses.
Further details on the implementation timeline and specific product categories subject to these tariffs are expected to be released in the coming days. Economists and industry stakeholders alike will be watching closely to gauge the policy’s broader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 stability.
워싱턴 D.C. — 백악관은 오늘 “상호관세를 발표와 동시에 즉시 적용하겠다”고 밝히며, 행정부의 무역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했다. 이 새로운 지침에 따르면,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에 대해 미국 역시 동등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는 무역 파트너들이 공정하고 균형 잡힌 무역 관행을 유지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습니다. 만약 미국 제품에 부당한 관세가 매겨진다면, 미국도 지체 없이 대응할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정책은 해외에서의 불공정 경쟁으로부터 미국의 산업과 일자리,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지자들은 이러한 대응이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비판론자들은 상호관세가 무역 갈등을 심화시키고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와 유럽 등 주요 경제권과의 협상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일부 국가들은 세계 경제 성장에 미칠 부정적 파장을 우려하는 입장을 내놨지만, 미국 정부는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조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구체적인 적용 시점과 대상 품목 등에 대해서는 조만간 추가 발표가 있을 예정이며, 경제 전문가와 산업계는 향후 국제 무역과 경제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미국 이슈 & Trending Top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기소 이슈 (4) | 2025.04.01 |
---|---|
Chris Brown announces 20th anniversary tour with special guests and return of fan-favorite feature (0) | 2025.03.29 |
At 464 pounds, Florida’s Desmond Watson could become the heaviest draft pick in NFL history (0) | 2025.03.29 |
MLB Opening Day is in full swing! (0) | 2025.03.29 |